본문 바로가기
[구름톤 챌린지] 1주차 2일차 문제 "프로젝트 매니징" N개의 기능개발을 해야하고 i번째 기능을 개발할 때 필요한 시간은 ci라고 하네요 작업 시작 시간이 T시 M분이라면 모든 개발을 끝마친 시간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입력값으로 총 4개의 값이 주어져요 기능의 개수인 N, 시간을 나타내는 T,M 마지막으로 N개와 같은 Ci 가 주어집니다. 예시로 3 10 10 50 22 23 이렇게 입력값이 주어져요 이 입력값의 출력값으로 11 45가 나와야 한다고 합니다. 제가 생각한 풀이는 다음과 같아요 먼저 Ci 의 값을 list로 받고 총합을 구해요 그리고 이 합을 60으로 시간과 분을 구해서 T와 M에 더해줘요 그리고 M이 60이 넘는다면 T에 그 값을 더해주고 M을 정리해줘요. 그리고 T는 0~23 까지의 숫자만 표시할 수 있으니 T % 24로 처리해주면 문제가 풀.. 2023. 8. 16.
<자료구조와 알고리즘> 정렬 with Python Python 리스트의 정렬 함수 1) sorted() - 내장 함수 -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를 얻어낸다 2) sort() - 리스트의 메서드 - 해당 리스트를 정렬한다 사용 방법 L = [3,6,21,5] L.sort() L2 = sorted(L) 매개변수로 reverse = True를 주면 반대로 정렬된다 문자열로 정리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? L = ['abcd', 'xyz', 'spam'] sorted(L, key=lambda x:len(x)) 여기서 lambda는 파이썬의 익명함수 문법입니다 lambda 매개변수 : 표현식 형태로 표현합니다 그래서 key 에 x의 길이많큼 주는 것입니다 또 다른 예시로 L = [{'name' : 'John', 'score':83}, {'name':'Paul','.. 2023. 2. 20.
<자료구조와 알고리즘> Chapter 1 시작 with Python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왜 배워야 할까요??? 이번 포스팅은 그 이유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python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! python에는 여러가지 자료형이 있습니다 문자열 "문자열입니다" 리스트 [1,2,3] 사전 {'a' : 6} 등이 있습니다. 그런데 자료구조를 왜 알아야 할까요? 기본적인 자료형을 가지고 다양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적합한 자료구조를 통해 이런 저런 문제들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입니다!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습니다. import time n = int(input("NUmber of elements: ")) haystack = [ k for k in range(n)] print("Searching for the maxi.. 2023. 2. 17.
<여름 인턴 준비> 코딩 테스트 코딩 테스트를 준비해야 합니다... 그런데 뭘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? 백준이나 LeetCode, 프로그래머스 같이 많은 코딩 문제를 제공해주는 사이트는 많지만 어떻게하면 효율적으로 코딩 테스트를 준비할 수 있을까요? 저는 비전공자입니다. 그래서 어떤 소스를 가지고 어떻게 해야하는 지 스스로 찾고 개척해나가야 합니다! 본 포스팅은 여름 인턴 준비에 대한 저의 기록일지 입니다. 어떤 식으로 공부를 하고 어떤 식으로 준비를 하는지 기록하려고 합니다! 목표는 카카오 채용연계형 인텁십입니다. 보통 4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신청을 받는 거 같으니 그때까지 포스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! 먼저 어떤 언어를 쓸까에 대해서 여러 고민을 해봤습니다. 사실 제가 맨처음 배웠던 언어는 파이썬이었는데요. 그 이후 자바랑 C를 .. 2023. 2. 15.